소주는 8도, 커피는 70도에서 제일맛있어
소주는 8도 커피는 70도... 맛도 과학이다
음식의 맛은 온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식품업계의 최대 관심 중 하나도 소비자가 맛보는 그 순간까지 음식의 최적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일부 외식업체는 음식을 주방에서 제공하고 온도 측정을 할 정도다. 어떻게 하면 같은 돈을 주고도 가장 맛있게 음식을 음미할 수 있을까.
◆아이스크림
일반적으로 아이스크림의 가장 맛있는 온도는 영하 1315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이스크림 한입이 입안에서 가장 부드럽게 녹는 온도이기 때문이다.
배스킨라빈스가 규정하는 가장 맛있는 아이스크림의 온도는 영하 18도. 아이스크림이 녹기 시작하는 영하 10도로 단단하고 얼어 부드럽고 쫄깃한 영하 20도 사이가 아이스크림을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온도라고 한다.
◆ 바나나, 오렌지
바나나는 나무에서 잘린 뒤에도 스스로 숨을 쉬며 숙성시키는 성질이 있다. 한국 델몬트는 바나나가 수확할 당시 온도인 30도를 쿨링 시스템을 이용해 13도까지 낮춘 뒤 한국에 도착할 때까지 5일간 같은 온도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곰팡이 번식이나 바나나의 빠른 숙성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사전에 막기 위해서다. 오렌지의 경우 운송 과정에서 냉장고 온도인 4~5도를 유지해야 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스테이크, 치킨 등
패밀리 레스토랑 T.G.I 프라이데이에서는 스프를 65~71도로 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 온도에서 국물의 고소한 맛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커피의 경우 6575도가 커피의 풍미를 더 잘 느낄 수 있다.
스테이크에 제공되는 통감자의 경우는 7374도가 적당하다. 스테이크는 굽기에 따라 맛있는 온도가 약간 다르지만 중간 정도의 굽기를 기준으로 할 경우 6870도 정도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식사 전 제공되는 빵의 경우 42도 정도로 조금 따뜻하게 제공하여 빵의 고유한 풍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와인
와인을 마실 수 있는 온도는 그 맛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처음 테이스팅을 하면서 와인 맛이 변질되는지뿐만 아니라 적당한 온도에 맞춰졌는지를 체크하는 것도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레드와인은 상온에서, 화이트와인이나 샴페인 등 단맛이 나는 와인은 차갑게 마시는 것이 맛있다. 와인나라아카데미에 따르면 화이트와인은 7~10도, 레드와인은 15~20도, 샴페인은 10도 이하로 준비한 뒤 마시는 것이 좋다. 최근 출시된 보졸레 누보의 경우 레드와인이지만 다른 레드와인에 비해 다소 차갑게 마신다. 와인잔이 너무 차가우면 양손을 와인잔에 감싸듯 안고 온도를 높인다.
◆ 소주, 맥주
소주의 가장 맛있는 온도는 섭씨 7도에서 10도 사이다. 진로 참이슬은 8도에서 두꺼비 마크가 부각되도록 했고 보해 파네주는 7도에 이르면 파네주 상표에 있는 5개의 파네 중 1개가 빨갛게 변하도록 센서를 달았다.
◆ 고추장, 된장 등의 조미료
간장류의 맛은 보관 온도보다 발효 과정의 적정 온도가 더 중요하다. 청정원 순창 고추장을 생산하는 공장에서는 메주 곰팡이가 가장 활성화되는 온도인 26~29도에 맞춰 메주를 띄운다. 이 회사 관계자는 이 온도에서 띄워야 단백질과 당분의 분해가 활발해져 깊은 맛이 나고 소화 흡수도 잘 되는 고추장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